영국의 해양기술 기업 ‘피시테크 마린(Fishtek Marine)’이 시행한 현장 연구에서, LED 조명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통발 어업이 해양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가리비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저인망 어업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처음에는 LED 조명이 랍스터나 게를 유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험이 진행됐다. 그러나 어획량에 큰 차이는 없었고, 결과는 기대에 못 미쳤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변화는 가리비에서 나타났다. 어민은 “기존에는 통발에 가리비가 거의 들어오지 않았지만, 불빛을 켠 뒤로는 한 번에 수십 마리씩 잡힌다”고 전했다.
이 증언에 따라 연구팀은 참가리비(king scallop)를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현장 실험에 착수했다. 3개월 동안 가리비 어장으로 알려지지 않은 해역에 총 1,886개의 통발을 설치하고, 이 중 985개에는 LED 조명을 달았다. 그 결과, LED 조명을 켠 통발에서는 총 518마리의 참가리비가 잡힌 반면, 불빛이 없는 901개의 통발에서는 단 2마리만 들어왔다. 전체 어획량의 99.6%가 불빛을 켠 통발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가리비는 일반적인 조개류와 달리 이동성이 높고, 포식자가 접근하면 껍질을 빠르게 열고 닫으며 물을 분사해 헤엄친다. 특히 참가리비는 패각의 외곽에 작은 눈을 최대 200개까지 지니고 있어 시각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연구진은 이 점에 주목했다.
실험 중 연구자들은 가리비가 실제로 LED 불빛이 켜진 통발을 향해 이동해 줄지어 들어가는 모습을 확인했다. 로버트 에네버 박사는 “처음 통발을 꺼냈을 때 수십 마리의 가리비가 안에 들어 있어 깜짝 놀랐다”며, “불빛이 없는 통발은 거의 비어 있었지만, 불을 켠 통발에서는 많게는 24마리까지 잡혔다”고 전했다.
가리비가 왜 LED 조명에 이끌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진은 ‘시각 자극’이 주요한 원인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가리비는 빛의 세기 변화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런 특성 덕분에 먹이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포식자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논문에서는 “LED 조명에 이끌린 생물들이 통발 근처에서 활발히 움직이면, 이를 먹이로 삼는 가리비가 자연스럽게 따라왔을 것”이라는 해석도 제시됐다. 실제로 어민들 사이에서는 “바다가 흐리고 탁할 때는 가리비가 잘 잡히지 않는다”는 증언도 있어, 시력이 중요한 요소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LED 조명을 켠 통발에서 딱총새우가 많이 잡혔다는 사실이다. 연구진은 “딱총새우의 강한 소리에 기절한 동물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가리비가 몰려왔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참가리비는 영국을 비롯한 대서양 연안 국가에서 중요한 수산 자원으로, 대부분 해저를 긁는 형망 방식으로 어획된다. 하지만 이 방식은 해저 생태계를 크게 파괴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어업 방법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어 왔다.
한국에서는 참가리비와 해만가리비가 주로 양식되며, 수입산 참가리비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들여오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LED 조명을 활용한 통발 어업이 국내외에서 친환경 어획 방식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연구진은 “LED를 이용한 통발 방식은 분명 환경 파괴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하지만 남획을 방지하기 위한 어획량 관리 체계와 함께 병행되어야 지속 가능성이 담보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More Stories
고구마 껍질, 벗기지 말고 먹으면 더 건강하다?
동탄을 들렸냐?”: 욕망과 혐오의 상징이 된 신도시 동탄
플레이스테이션5 프로, 11월 국내 출시…가격은 111만8000원